# URI란?
= 통합 자원 식별자
인터넷에서 리소스(자원)를 식별하는 문자열
# URL
= 통합 자원 위치
URI의 한 종류
웹에서 주어진 리소스의 주소
네트워크 상에 리소스가 어디 있는지 알려주기 위한 약속
URL의 구조
- Schema(Protocol)
- 브라우저가 리소스를 요청하는 데 사용하는 규약
- 기본적으로는 HTTP(S)를 쓰고 이외에도 mailto:, ftp:등 다른 프로토콜도 있음
- Domain Name
- 요청 중인 웹 서버를 나타냄
- 직접 IP주소를 사용해야하지만 사용의 어려움때문에 Domain name으로 씀
- 예를 들어, google.com == 143.251.42.142
- Port
- 웹 서버의 리소스에 접근하는데 사용되는 기술적인 문(Gate)
- Http : 80
- Https : 443
- 표준포트는 생략 가능
- Path
- 웹 서버의 리소스 경로
- 예전에는 파일이 위치한 물리적 위치를 나타냈지만 지금은 추상화된 형태의 구조
- 예를 들어, 네이버 → www.naver.com/index.html 이라고 해도 메인페이지로 감
- Parameters
- 웹 서버에 제공하는 추가적인 데이터
- '&' 기호로 구분되는 key-value 쌍 목록
- 앞에서는 GET으로 검색을 이용할 때 썻엇다
- Anchor
- 북마크랑 비슷, 긴 페이지에서 특정 위치로 갈 수 있게 해줌
- 서버에서 처리하는게 아니라 브라우저에서 처리됨 (# 이후는 서버로 안 넘어감)
- https://getbootstrap.com/docs/5.3/getting-started/introduction/#html5-doctype
- #이후에 붙은거, 바로 HTML5 doctype으로 감
'BackEnd > Django' 카테고리의 다른 글
[Django] DRF란? (0) | 2023.10.18 |
---|---|
[Django] RESTful API (2) 자원의 행위 / 표현 (0) | 2023.10.18 |
[Django] API와 REST (0) | 2023.10.18 |
[Django] 댓글 구현(N : 1) (0) | 2023.10.17 |
[Django] Query (0) | 2023.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