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를 3번이나 했지만, 매번 프론트만 해서 아무것도 모르는 나
혼자서 프로젝트를 띄워보고 싶지만 아는게 하나도 없어요
유튜브를 돌아다니면서 한 강의를 발견했고, 그걸 바탕으로 차근차근 따라가볼려고 합니다
인프런에도 있던데, 우선 앞에 해보고 괜찮으면 뒤에 까지 사서 들을 예정.
우선,
💁♀️ 배포가 뭔가요?
배포란, 로컬 환경에서 구현한 것들을 다른 사용자들이 인터넷을 통해서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
즉, 배포를 하게 되면 로컬호스트에서 개발하던 것들을 ip나 도메인을 통해 어디서든, 누구든 접속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 EC2는 뭔가요?
EC2는 컴퓨터를 빌려서 원격으로 접속하는 서비스, Elastic Computer Cloud
원래 서버를 배포하기 위해선 컴퓨터를 돌려서 해야함,
하지만 그럴려면 하루종일 틀어놔야하고 발열, 전비세등의 문제가 생김(우리 나여 인공지능 서버처럼..) 그리고 보안적으로도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불편함을 극복하기 위해 AWS에 있는 EC2라는 컴퓨터를 이용해 서버를 구축한다. + EC2의 부가적인 서비스들(트래픽 분산등)의 장점도 있음
- 실제로 현업에서도 쓰나요? ⇒ 네
- 주로 백엔드 서버 배포용으로 많이 쓴다. 프론트엔드 웹페이지 배포는 vercel이나 netify, AWS S3등을 주로 사용
그럼 EC2를 들어가보자
⚒️ EC2 한번 써보기
- AWS 페이지에서 로그인
- 우측 상단을 눌러서 콘솔로 가준다.
3. 검색창에서 EC2 검색
4. EC2 페이지의 우측상단에서 Region 선택
Region이 뭔가요?
인프라를 지리적으로 나누어 배포한 서비스 센터
EC2를 쓸 때 빌려쓰는 컴퓨터가 물리적으로 위치하는 곳
AWS는 많은 region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id를 가짐
만약, EC2 만들었는데 왜 안보이지? ⇒ region 잘 되어있나 보기
그럼 어떤 Region이 좋을까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서 가져오기 떄문에 가까울수록 좋음 → 멀수록 속도가 느림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rver] MAC환경에서 UTM을 사용해서 Ubuntu사용해보기 (0) | 2024.07.19 |
---|---|
[Server] 리눅스 기초: 기본적인 명령어들과 그 역할 (0) | 2024.07.05 |
[Server] 간단한 react 프로젝트 생성 후, EC2를 이용해 배포해보기 (0) | 2024.07.04 |
[Server] Elastic IP 만들고 붙이기 (0) | 2024.07.04 |
[Server] EC2에서 인스턴스 만들기 (1) | 2024.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