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뇌의 신경계를 구성하는 뉴런은 외부에서 전달된 물질을 저장하다가 특정 용량이 넘으면 외부에 전달을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즉, 역치값을 넘을 때만 신호로 보낸다. Perceptron (= Single-Layer Neural Network) 이런 뉴런의 구조를 따와서, 가장 기본적인 신경망 구조인 Perceptron도 입력과 가중치를 곱한 것의 합이 역치(임계치)를 넘으면 1, 아니면 0을 출력하는 이진 분류기의 역할을 한다. 입력 벡터 x에 대해서 Wx + b의 형태를 가지며, 여기서 W는 입력에 곱해지는 가중치 파라미터 행렬, b는 역치를 조정하는 오프셋 파라미터이다. Multi-Layer Perceptron(MLP) 하지만 하나의 Perceptron으로는 한계가 존재하므로, 여러 개의 Per..
# 머신러닝이란? 인공지능의 하위 분야로, 지식을 추출하여 예측 모델과 데이터 기반의 의사 결정을 하는 컴퓨터 알고리즘 # 머신러닝의 종류 1. 지도학습 레이블된 훈련 데이터에서 모델을 학습하여 본 적 없는 미래 데이터에 대해 예측을 만들어 내는 것 매핑 함수를 통한 학습, 정답이 존재함 ex) 이미지 분류, 이미지 캡셔닝, 객체 인식등 (1) 분류 과거의 관측을 기준으로 새로운 것이 들어왔을 때, 어느 범주에 들어갈 것인지를 예측함 예를 들어, 0~9까지의 숫자를 손글씨로 쓴 이미지를 학습시키고 새로운 이미지를 줬을 때 앞선 학습을 기반으로 어떤 숫자인지를 알아내는 것이 분류에 속함 또한, 두가지 범주를 구분하는 이진 분류에서 두 범주를 구분하는 규칙을 결정 경계라고 한다 (2) 회귀 회귀는 연속적인 ..
파일은 HDD안에 있고, 메모리로 보내서 CPU가 처리한다 # Computer File 컴퓨터 저장 장치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리소스이며, 파일의 이름으로 구별됨 Computer Resource? 제한된 가용 상황에서의 물리적 부품과 가상 구성 요소(파일, 네트워크 연결, 메모리) .pdf, .txt, .png...등등 파일 형식에 따라 종류가 엄청 많은데 어떻게 분류하고 실행되는걸까? = 운영체제가 파일 확장자를 인식해서 종류를 파악, 아이콘과 프로그램을 매칭시켜준다 이것을 확인하기 위해 제어판 > 파일 탐색기 옵션에서 두 설정을 다음과 같이 바꿔준다 근데, 이렇게 파일명이 보여도 .pdf를 .png로 바꿔준다고 해서 사진형식으로 실행이 될까? X `지원하지 않은 형식입니다`, `파일이 손상되어 실..
# Locust란? 오픈 소스 부하 테스트 도구 즉, 내가 만든 서버에 많은 사용자들이 동시에 들어올 때 어떤 일이 벌어지는 지를 확인하는 도구 사용법은 공식문서 참고 // 공식문서 예시파일 import time from locust import HttpUser, task, between class QuickstartUser(HttpUser): wait_time = between(1, 5) @task def hello_world(self): self.client.get("/hello") self.client.get("/world") @task(3)# 3은 가중치, 위에꺼랑 1:3의 비율로 실행됨 def view_items(self): for item_id in range(10): self.client.g..
# SQL 문장들의 종류 DML(Manipulation) - SELECT, INSERT, UPDATE, DELETE DDL(Definition) - CREATE, ALTER, DROP, RENAME DCL(Control) - GRANT, REVOKE TCL(Transaction) - COMMIT, ROLLBACK # NULL이란? 모르는 값 값의 부재 NULL과의 비교는 알 수 없음(Unknown)을 반환한다 (IS NULL제외) # PK = UNIQUE + NOT NULL 그럼 UNIQUE 속성은 NULL 입력이 가능할까? ⭕️ → 중복은 안되지만 NULL은 가능 # 물리적 테이블 (= 테이블 명, 칼럼 명) A-Z, a-z, 0-9, _, $, # 만이 허용됨 반드시 문자로 시작해야 함 # 이런 코드..
# 조인이란? 여러 테이블을 연결 또는 결합하여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 일반적으로 PK나 FK 값을 기반으로 한다. 1. 내부 조인(INNER JOIN) 보통 그냥 조인이라고하면 내부 조인 SELECT 열목록 FROM 첫번째테이블 INNER JOIN 두번째테이블 ON 조인조건 2. 외부 조인(OUTER JOIN) 한쪽에만 데이터가 있어도 결과가 나온다. 집합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색칠한 부분에 해당되는 데이터가 반환됨 #3.상호 조인(CROSS JOIN) 한쪽 테이블의 모든 행과 다른 쪽 테이블의 모든 행을 조인시킴 결과의 행 개수는 각 테이블의 행 개수를 곱한 수만큼이 된다. == CARTESIAN PRODUCT